|
근방추의 구심섬유
3)근방추의 운동섬유
4)사지의 위치와 운동의 지각에 대한 근방추의 역할
5)근방추에 의한 반사 - 신장반사
6)근방추 작용의 적용
(1) DTR
(2) 물건을 들고 있을 때
(3) postural muscle tone 조절
2.골지건기관
1)골지건의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자신이 봉에 더 접근해야 되겠다는 정보를 감지하면, 팔에 더욱 많은 힘을 주어 봉쪽으로 몸을 이동시킨다. 반대로, 인체가 봉에 너무 앞서 나갔다고 위치를 감지하면 팔의 수축력을 감소시켜 잘못된 위치를 수정할 것이다.
골지건기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9.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방지해 주는 안전장치의 역할을 한다.
추체로계가 수의적인 근수축을 일으키는 신경경로이고 대뇌피질의 제4운동야가 담당한다. 수의운동은 추체외로계, 근방추, 골지건기관등의 작용으로 일어나는 반사운동에 의해서 조절을 받는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운동신경섬유는 위치하지 않는다.
각각의 골지힘줄기관은 15-20개의 추외근들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동적이 신장 (stretch)때 보다는 수축할 때 더 자극을 받게 된다.
근육을 과도하게 수축을 하면 골지힘줄기관으로부터 Ιb군 구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방추의 정보는 척수반사전도로와 긴 고리반사전도로에 기여한다.
그림 3-5 A. 골지건기관과 Ib 구심성 신경지배. 근-건접합부에 위치하고 15~20개의 근섬유와 연결되어있다. B. 골지건기관(GTO) 반사전도로의 신경회로, 두갈래근에 있는 골지건
|
- 페이지 34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