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李生窺墻傳의 原型批評的 接近攷, 국어국문학, 동아대국어국문학과, 1983.
최명관(역), 캇시터 著, 인간이란 무엇인가. 서울 : 훈복문화사. 1973. Ⅰ. 서론
Ⅱ. 서사적, 유형적 특징
1. 萬福寺樗蒲記
2.「李生窺牆傳」
Ⅲ. 문학사적 의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金鰲神話의 발생 배경
1.1 내재적 연원
1.1.1. 민간 설화 등 민속적 사유 및 신앙(하층적 연원)
1.1.2 전시대 한문학의 전통(상층적 연원)
1.1.3 정신사적 배경
2. 외재적 연원
2.1 萬福寺樗蒲記
2.2 李生窺牆傳
Ⅲ. 문학사적 의의
Ⅳ. 교육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복사저포기(萬福寺樗蒲記)>에는 왜구의 침입에 의한 참상으로 인해, <이생규장전(李生窺墻傳)>에는 홍건적으로 인해 등장인물의 평온한 일상이 깨지는 모습에서 현실에 대한 부정적인 관점이 드러난다. <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7.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오신화(金鰲新話)』의 다섯 작품을 분석하면서, 이들을 좀 더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과 더불어 고전 소설을 단순히 따분하고 고리타분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히 흥미 있고 당대적인 현실과 결부하여 연구할 만한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9.0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Ⅲ . <금오신화> 분석
1.金鰲新話의 創作淵源과 그 背景
2.金鰲新話 구조 분석
1)萬福寺樗蒲記(만복사 저포기)
2)李生窺墻傳(이생규장전)
3)醉遊浮碧亭記(취유부벽정기)
4)南炎浮洲志(남염부주지)
5)龍宮赴宴錄(용궁부연록)
Ⅳ. 결 론
|
- 페이지 2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