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급성 백혈병의 예후는 극적으로 좋아졌다. 특히 소아의 ALL은 예후가 좋다.
ALL에서 예후 불량 요인은 다음과 같다.
(1) 1세 이하 또는 10세 이상
(2) 진단시 백혈구 수 50,000/uL 이상
(3) 염색체 전좌 : 필라델피아 염색체[t(9;22)] 또는 t(4;11)
(4) hypodiploi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능과 구성
2)조혈기관과 기능
(1)비장
(2)간
(3)골수
2. 혈액과 조혈기관 장애
1)적혈구와 관련된 질환
(1)빈혈
2)백혈구와 관련된 질환
(1)백혈병
3)지혈, 혈소판, 응고장애
(1)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2)혈우병
(3)산재성 혈관재 응고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림프선증, 간비대
-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경증의 빈혈, 혈소판 감소증, WBC>100000/m㎥
- 말초 림프구 증가
- 골수내 림프구 존재 Ⅰ. 서론
Ⅱ. 본론
1. 호중구 감소증 (과립구 감소증, granulocytopenia)
2. 백혈병
Ⅲ. 결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간호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의 간호는 호지킨병 및 다발성 골수종과 비슷하다. 응급상왕은 호지킨병보다 비호지킨 림프종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상대정맥 폐색과 척수 압박이 가장 흔한 응급상황이다. 가른 합병증은 중추신경계 침범, 감염,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9.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혈병 확인 및 분류에 도움이 됨.
○정상
호중구
60~70%
호산구
0~5%
호염기성 구
0~3%
림프구
30~40%
단핵구
0~5%
구분
결과
해석
호중구
증가
염증성 질환, 조직 괴사
감소
골수 저하, 바이러스 감염
호산구
증가
앨러지 반응, 피부 질환
감소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