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9건

김득신이다. 때로는 풍속화뿐만 아니라 도석인물화 등에서도 두 화가의 필법이 흡사하여 낙관이 없는 경우에는 혼란을 초래할 정도이다. 또 김홍도 화풍이 형식화 되어가는, 풍속화의 퇴영을 예고하는 출발선상에 놓인 화가이기도 하다. 김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3.12.17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金弘道, 1745-1806)와 고송유수관(古松流水館) 이인문(李寅文, 1745-1824),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64-1822), 초원(蕉園) 김석신(金碩臣, 1768-?) 등이 출현하여 겸재세대를 계승하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내게 되는데 공교롭게도 이들은 모두 화원화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0.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金弘道, 1745-1806)와 고송유수관(古松流水館) 이인문(李寅文, 1745-1824),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64-1822), 초원(蕉園) 김석신(金碩臣, 1768-?) 등이 출현하여 겸재세대를 계승하려는 강한 의지를 나타내게 되는데 공교롭게도 이들은 모두 화원화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金弘道)김득신(金得臣)과 더불어 조선 3대 풍속화가로 지칭된다. 그는 풍속화뿐 아니라 남종화풍(南宗畵風)의 산수(山水)와 영모(翎毛) 등에도 뛰어났다. 속화(俗畵)를 즐겨 그려 도화서(圖畵署)에서 쫓겨난 것으로 전해지며, 그의 부친 신한평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김득신이다. 김득신은 조선 후기의 화가로. 자는 현보, 호는 긍재·홍월헌. 본관은 개성이다. 도화서의 화원으로 초도첨사를 지냈다. 인물화에 뛰어났으며, 풍속화의 경우 김홍도의 풍속화풍을 계승하면서 더 많은 배경을 삽입하는 등 특색이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