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음화 될 때마다 하나님께서는 개혁자들과 전도자들을 부르셔서 초대교회가 붙잡았던 언약과 복음을 다시 회복하도록 역사하셨다. 따라서 다락방운동은 초대교회운동으로서 한국교회와 세계교회가 놓쳐버린 현장과 그 현장을 살릴 수 있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9.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독론과 구원론
1. 기독론
예수님의 인격 Person
2. 구원론
예수님의 사역 Works 에 대한 교리라고 정통적으로 구분했다.
19세기 이후에는 이것을 막지 않는다. 정체성의 물음(그분이 누구신가?)와 관계성의 물음(그분이 나와 무슨 관계가 있는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독론적 의미 : 신성의 확증.
개관적 입장(판텐버그) + 주관적 입장(불트만)을 통해 통합하여야 함
부활을 초역사적이며 종말론적 사건이다.
*. 부활 사건 자체요 해석적 경험을 분리하기가 힘들다.
#. 부활 신앙의 구원론적 의미
그리스도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4.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독론, CLC, 1993
황승룡 역, 교리 교육 지침서 中 성령론, 서울 : 장로교 출판사, 1994 Ⅰ. 서론
Ⅱ. 신학의 정의
Ⅲ. 신학의 기독론
1. 하나님과 신학에의 당위
2. 예수님은 본질상 하나님과 동일하신 분이신가
3. 이단적 삼위일체 주장들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2006.
한영제. 한국기독교의역사. 서울 : 기독교문사, 1989.
논문
배용신. 부흥운동이 교회 성장에 미친 영향. 안양 : 안양대학교신학대학원, 1999.
홍석훈. 1907년 대부흥운동의 배경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 서울신학대학원 1991.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7.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