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
- 한글창제와 분단 전까지의 언어
본론
1. 김일성 정권에서의 언어정책
(1) 김일성 언어정책의 바탕이 된 언어관
(2) 김일성 교시
① 1차 교시 내용
② 2차 교시 내용
2. 김정일 정권에서의 언어정책
(1) 김정일 언어정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나라와의 접촉으로 생긴 우리말의 문제점
한자말과 외래어를 고유한 우리말로 고치고 우리말을 체계적으로 발전시켜나갈 방법
우리말을 잘 다듬기 위한 사회적 방안
♣ 김일성과 북한 언어학자들과의 담화에 대한 나의 생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어 정책≫
1949년 한자 폐지 ― 한글 전용 정책을 실시
1954년 \'조선어 철자법\' 마련
1960년 \'조선말 사전\', \'조선어 문법\' 편찬
1964년 김일성 교시 ― 가로 풀어쓰기 비판, 한자 교육 필요성 강조, 외래어 정리
1966년 김일성 교시 ― 평양말을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어 이해, 세종출판사
김민수(2002) / 남북의 언어 어떻게 통일할 것인가, 국학자료원
국립국어연구원(1992) / 북한의 언어 정책, 국립국어연구원
북한 말다듬기 자료집(1990) / 서울
이은정(1996) / 남북한 어문 규범 고찰, 백산출판사
홍종선(1993) /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어정책
1. 남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70) - 정책 형성기
2) 제 2기(1971~90) - 정책의 전개기
3) 제 3기(1991~현재) - 정책의 발전기
2. 북한의 언어정책
1) 제 1기(1945~63) - 언어정책의 형성기
2) 제 2기(1964~83) - 언어 정책 전개기
3) 제 3기(1984~94)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