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우고 四書와 五經을 배우게 하였다. 여기에서 소학과 가례를 먼저 배우도록 한 것은 修身을 하고 집을 다스리는데 이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을 하였기 때문이다. 全書 p.815, 卷 45, 附錄, 修身齊家 莫切於家禮小學
이것은 예를 실천하는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7.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조현규, 『한국전통윤리사상의 이해』, 새문사, 2002.
지두환, 『한국사상사』, 역사문화, 1999.
한국철학사연구회 엮음, 『한국철학사사상사』,심산, 2003.
한기범, 「사계 (沙溪) 김장생의 (金長生) 생애와 예학사상」, 百濟硏究, 1989.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장생(金長生) 등에 의하여 유교의 행동규범인 예설(禮說)로 발전하였다. 이퇴계와 이율곡에 앞선 서화담은 그 이론이 송나라 장재와 같은 기일원론(氣一元論)이라 할 수 있으니, 곧 “태허(太虛)는 맑고 무형(無形)이나 이름하여 선천(先天)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