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평묵의 척사론과 (斥邪論) 연명유소 (聯名儒疏)」,『한국학보 Vol.15』, 일지사, 1989.
김근호,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낙론(洛論)의 심설(心說)에 관한 화서 이항로 의 비판적 검토」,『한국사상과 문화 Vol.47』, 한국사상문화학회,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11.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평묵(金平默) · 유중교(柳重敎) · 최익현(崔益鉉) 등이 대표적이다. 1880년 수신사 김홍집(金弘集)이 일본에서 가지고 온 청국인 황준헌(黃遵憲)의 ≪조선책략≫으로 말미암아 신사척사론(辛巳斥邪論)이 발생하였다. 이 책자는 러시아의 남
|
- 페이지 33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2.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평묵, 유중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개화의 흐름에 반대하는 형태로 전개되었다. 그들의 운동은 조선 말기 의병운동으로 실천에 옮겨졌고, 국권상실 이후에는 항일의병 운동과 독립운동으로 계승되어 자주민족의 정신적, 사상적 초석이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평묵, 유중교, 이진상 등
참고문헌
* 한국근대사 강의(한울) -한국근현대사학회 엮음 p90~105
* 한국근대사회변동사강의, 2000 - 신용하 p80~91
* 한국근대사 연구, 1982 - 강재언 p344~367
* 한국근대사회와 사상, 1981 - 강재언, 김정미, 김정희 p37~64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1)위정척사 사상의 형성과정
2)위정척사 사상의 특징
①화서 이항로
②노사 기정진
③면암 최익현
④중암 김평묵
3)위정척사 운동의 전개
4)위정척사 요점정리 및 장점과 단점
3. 결론.
4. 느낀점.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5.05.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