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인돌에 관한 행사 치고는 약간 조철해 보였으나 체험하는 코스가 대부분이여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행사였던 것 같다.
향토음식점을 비롯하여 움집 체험 ,거석끌기 체험, 반달돌칼과 돌도끼 사용하기 , 볍씨채집, 남방식 고인돌 지하의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떻게 형성되었나) / 이이화 / 한길사 / 1998 1. 서 론
2. 본 론
1) 고인돌이란?
2) 우리나라 고인돌의 기원
3) 형태에 따른 분류
(1) 북방식 고인돌
(2) 남방식 고인돌
(3) 개석식 고인돌
(4) 껴묻거리 고인돌
3. 결 론
- 참 고 문 헌 -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얼마나 중요한 유적인지 느끼고 온 것이 있어서 다행인 것 같다.
가까운 무안에 가서만 지석묘를 보고 왔지만 다른 전남지역에 가서도 이런 고인돌이 어떤 공통점을 지니고 차이점을 지녔는지 시간을 내서 한번씩보고 와야 할 것 같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7.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방식과 같이 발견되고 있다.
결국 한강과 북한강유역을 경계로 북방식 고인돌의 분포는 끝난다고 할 수 있다. 남방식 고인돌은 이 아래에서부터 분포하기 시작하나 주로 경상도와 전라도의 남부지방에 그 분포가 국한되고 있다. 그러나 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하백원(河百源), 나경적(羅景績) 등이 유명하고, 도곡면 효산리와 춘양면 대신리를 잇는 고개의 양쪽 계곡을 중심으로 반지름 4㎞ 지역에 400여기의 남방식 고인돌이 몰려 있고, 남면 벽송리 보성강 상류 사평천변에도 10여기의 고인돌군이 있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