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성명이나 남북기본합의서보다도 실현가능성과 타 분야의 남북관계 발전을 위한 포괄적 파급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 이장희, "통일지향적 국제법적 정비방향", 6.15 남북공동선언과 통일지향적 법제 정비 방향, 아사연 학술 포럼 시리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공동선언 재조명: 이론과 실제, 통일 연구원
6.15 공동선언 이후 남북관계의 평가와 전망, 국회 평화통일포럼
6.15 남북 공동선언 1년 평가 공청회, 정책위원회
전상봉, 통일, 우리민족의 마지막 블루오션, 시대의 창
6.15 남북공동선언 재조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동선언과 남북한관계 : 성과와 한계. 아태연구.
통일부(2012). 개성공단 기업안내.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유현석(2013). 국제정세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이상준(2007). 개성공단의 합리적 개발을 위한 과제. 『국토』. 국토연구원.
홍순직(2013).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8.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한 쌍방 사이의 관계만 아니라 주변국과 특히 한미공맹관계과 정전협정 등 근본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남북한 간의 합의는 형식적 역할을 할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 도 불구하고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은 이후 올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3,900원
- 등록일 2019.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동선언에서“통일을 위한 남측의 연합제 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하고 앞으로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해나가기로” 합의한 바도 있다. 남북연합으로의 진입은 남북관계의 일정한 진전을 정치적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