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동선언에 비해 미흡하다. 특히 6.15 공동성명은 국민적 지지는 물론이고 UN이라는 국제적 기구에 의해서도 절대적 지지를 받았다.
) 유엔, "남북정상회담지지" 의장성명. 유엔 밀레니엄 정상회의의 공동의장인 핀란드 타르야 할로넨 대통령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정상회담까지," 정토출판, 2001
통일부, "남북정상회담 2주년 해설자료" http://www.unikorea.go.kr/
"남북정상회담 민족사의 새 지평"
"남북정상회담과 6·15 남북공동선언의 의의는 무엇인가"
이원섭 "무엇이 언 마음을 녹였나," 한겨레신문, 05/03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동선언 이후 남북관계의 평가와 전망, 국회 평화통일포럼
6.15 남북 공동선언 1년 평가 공청회, 정책위원회
전상봉, 통일, 우리민족의 마지막 블루오션, 시대의 창
6.15 남북공동선언 재조명, 통일연구원
6.15 정상회담과 한반도 평화체제, 통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회담과 ‘2007 정상선언’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낸 매우 잘 된 것이지만, 앞으로의 문제는 남북 간에 이번 합의를 어떻게 충실하게 이행해 내느냐 하는 것이다. 우리는 나라와 민족의 장기적인 이익, 평화통일과 번영을 위해 이번 남북공동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상화 조짐과 함께 북·미, 북·일 회담 재개 가능성도 현실화됨으로써 부시 행정부 출범이후 중단된 한반도 평화프로세스가 재가동되는 기류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남북관계의 발전, 즉 당국간 회담의 본격적 가동은 분명히 6.15공동선언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8.06.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