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북정상회담의 국제적 의미와 영향 : 동북아 국제정치의 새 패러다임, 영남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Hidenori Ijiri(1990), 동북아에서의 탈냉전체제의 등장, 평화문제연구소 Ⅰ. 탈냉전체제에서의 동북아정세(동북아시아정세)
Ⅱ. 남북정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의 유엔역할(UN역할, 국제연합역할)
Ⅲ.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의 핵비확산조약(NPT)
Ⅳ.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의 남북정상회담
Ⅴ.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의 다자간안보회의
Ⅵ. 동북아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분단으로 인해 우리나라는 세계 제 12위정도의 강대국이지만 동북아시아에서는 제일 허약한 나라라는 운명을 벗어날 수 없었다. 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는 급격한 변화의 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교착된 남북문제가 풀리면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남북경제협력에 임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2007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정세 전망” - 서주석(한국국방연구원 책임연구위원)
“2007 남북정상회담의 성과와 향후 과제” - 유병선(충남대학교)
북한경제와 남북경협의 현주소 - 삼성경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 안보레짐 , 북한대학원대학교, 2010
6. 윤순재, 복합안보와 동북아 안보체제 모색, 인천대학교, 2010 Ⅰ. 서론
Ⅱ.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의 위험변수
Ⅲ. 동북아안보(동북아시아안보)의 군사정세
Ⅳ. 동북아안보(동북아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