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건으로 천, 지, 인 방향으로 닦은 다음 다완의 둥그렇게 다시 닦는다.
그런 다음 다완을 원래 자리에 놓고 중앙의 차호를 집어서 가까이 가져 온 후 차호의 뚜껑을 살짝 열어서 상태를 확인 후 차시를 들어 적당량의 차를 덜어낸다.
(차호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관에 담긴) 한·중·일의 茶 문화사 - 정동주 , 한길사
9. 현대 중국 생활 茶 - 김정희, 조미라 , 민속원 Ⅰ. 서론
중국인들의 차(茶) 문화
Ⅱ. 본론
1. 차 선별법
2. 중국의 차(茶) 시장
3. 중국의 다예
1) 도교(道敎)와 중국의 다도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1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茶巾)
다관과 찻잔 등을 사용할 때마다 닦고 걸레질하는 것 보통 가로가 1자 2치에 세로가 7치 정도가 적당하다.
⑧찻상포(茶床布) : 다구에 먼지가 끼지 않도록 덮어두는 것
찻상포는 예로부터 빨강 색과 남색으로 안팎을 삼아서 만들어 사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건(茶巾)
차를 우릴때나 정리할때 쓰는 행주
찻상(茶床)
다관, 숙우, 잔, 차호 등을 올려두는 판
다반(茶盤)
찻잔을 나를때나 기타 물건을 담아두는 판
홍보(紅褓)
찻상을 덮어둘때 쓰는 붉은 보자기
차완(茶碗)
잔보다는 큰 사발로 말차를 마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국의 다기(茶器)
1. 다호(茶壺, 도기陶器)
2. 개완(蓋碗)
3. 다해(茶海)
4. 다배(茶杯)
5.다선(茶船), 다반(茶盤)
6.다탁(茶托)
7. 다예소구(茶藝小具)
8. 기타: 다건(茶巾)과 다엽호(葉茶壺, 葉茶入)
일본 다도와 중국 다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9.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