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도와 일번의 美 』, 소화출판사, 2004년
나카미 마리, 김순희 역,『야나기 무네요시 평전』, 효형출판사, 2005년
김영, 『일본 문화의 이해』, 제이엔씨, 2006년
이지선, 『일본의 전통문화』, 제이엔씨, 2008년
정동주,『한국차살림』, 이룸출판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해』, 다도사, 2005
왕총런, 『중국의 차문화』, 에디터, 2004
석도윤 · 이다해 , 『중국 茶 문화』, 하, 2006
리우이링, 『차의 향기 : 교양으로 읽는 중국 생활 문화』, 산지니, 2006
이진수, 『한권으로 이해하는 중국 차문화』, 지영사, 2007
강판
|
- 페이지 3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8. 한국 다도의 정신
신라인들은 신체미를 숭상하는 관습이 있었다. 그러므로 미모의 남자를 뽑아서 곱게 꾸민 화랑은 신체미 숭배사상의 표상이었다. 그러나 화랑도가 다도를 수련한 것은 이러한 외형미 못지않게 내면의 심성까지 미화하기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4.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도를 좀 더 발전시키고 새로운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참고문헌
김대철, 『우리 차문화』, 茶의 세계, 2003.
김명배, 『中國의茶道, 명문당』, 1986.
이광주, 『동과 서의 茶이야기』, 한길사, 2002.
이진수, 『한 권으로 이해하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5.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도방)가 전래되면서 더욱 인기를 끌게되었다
.참고문헌:
http://www.dgedu.net/edu/2004/127/sub4/index3.html
http://myhome.naver.com/blue752/frameset1_3.html
http://www.joy-cook.ce.ro/
http://myhome.naver.com/blue752/frameset1.html
김문길,『일본문화의 이해』, 부산외국어대학교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