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짐곡선을 얻으려면 최적함수비 근처에서 1회, 건조측 및 습윤측에서 각 2회씩 함수비를 구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5. 결과 처리
5.1 건조단위중량(건조밀도),
여기서,:모울드 속의 흙의 무게
:모울드의 용적
:함수비
세로축은 건조단위중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붙어 힘이 많이 들었다
참고사항
토질에 따른 다짐곡선의 차이
1. 최대건조밀도가 높은 흙일수록 최적함수비가 낮다.
2. 입도가 좋은 사질토일수록 최대건조밀도가 높고 다짐곡선이 날카롭다.
또한 세립토일수록 낮고, 다짐곡선이 완만하다.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9.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모래일지라도 입도가 나쁜 것은 최대건조밀도가 낮고, 다짐곡선이 평평하고 최대치가 분명하지 않은 것이 많다.
4. 화산탄질 점성토는 극단적으로 최대건조밀도가 낮고 최적함수비가 높다.
◁ 고함수비 점성토의 다짐 특성 ▷
고함수비 점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1.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다짐에너지와 지반의 입도 및 함수비에 영향을 받게된다. 또한 다짐의
효과는 건조단위중량으로 확인한다. 다짐시험은 에너지를 가하여 최대 건조
단위 중량과 이때의 최적함수비를 구하는 결과로 함수비 - 건조밀도 관계
곡선을 작도하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로 3∼4회 큰 함수비로 3∼4회로 전부 6∼8회 실시한다.
(8) 측정결과를 정리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
4. 결과산출방법
(1) 데이터 시트를 작성한다.
(2) 건조단위중량(건조밀도) γd를 계산한다.
(3) 다짐곡선을 그린다.
세로축은 건조단위중량 γ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