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기로 약간 온기이니 독이 없다.
酒炒用,反藜蘆。
단삼은 술로 볶아서 사용하니 여로와 상반한다.
《本經》主心腹邪氣,腸鳴幽幽如走水,寒熱積聚,破除,止煩滿,益氣。
신농본초경에는 단삼은 심복부의 사기를 주치하며 장명으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대 문장에서 본초책은 창출, 백출을 구분하지 않다가 도은군(도홍경)이 양쪽 종류로 말함이 있어서 비로소 각자 베풀어 사용되었다. 丹參
단삼
元參
원삼
白朮
백출
蒼朮
창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삼층은 왕의 명령과 이를 전달하고 수행하는 집단을 상징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하여 고려초기는 호족연합정권 적 성격이 강했기 때문에 특별히 왕권 강화에 필요한 집단을 구성하여 동원할 필요가 있었으며, 관료제가 진전되는 상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삼
(除風邪留熱,骨節痛,四肢不遂。破宿血,生新血。漬酒飮, 治風毒足軟,名奔馬草。)
단삼은 풍사의 남은 열, 골절통, 사지 반신불수를 제거한다. 단삼은 묵은 어혈을 깨고 새로운 혈을 생성한다. 술에 담가서 마신다. 단삼은 풍독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삼보혈탕Ex제 투여효과에 관한 임상적 관찰. 대한한의학회지. 1983:6.
5월 27일 부터는 두통을 함께 컨트롤 하기 위해 치담풍(반하백출천마탕 쯔무라제재)도 함께 투여하였다. 반하백출천마탕은 足太陰의 痰厥頭痛을 주치로 한 방제로 脾胃內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8.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