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산굿 에서도 쓰인다.
1
갱
갯
지
갠
지
갱
×2
2
갱
지리
쟁
읏
지
갱
3
갱
개
개
갱
개
개
4
읏
지
개
개
갱
갯
5
갱
지리
갱
읏
지
갱
6
갱
개
개
갱
개
개
7
음
매
개
개
갠
지
갱
8
음
매
개
개
갱
개
개
갱
9
개
개
개
개
갱
개
개
갱
10
지리
쟁
지리
쟁
|
- 페이지 50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7.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산굿
마을의 수호신인 당산님(마을을 지켜 주는 신으로 나무나 돌을 가리킴)께 인사하는 것으로 당산에 대한 인사굿으로서의 뜻만이 아니라 마을사람 모두의 바람(기원)을 나타내고 모든 이의 의사를 모아 가는 자치의 기능을 맡아 왔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산굿을 친다. 그러면 마을 사람들이 어떤 문제를 내는데 상쇠가 그 문제를 풀 경우 풍물패가 마을에 들어올 수 있으며, 들어오면 곧바로 당산에 들러 당산굿을 친다. 그리고는 마을의 공동 우물에 가서 샘굿을 친다. 그러고 난 후에야 마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산굿을 치고 들어간다), 또는 풍물굿패를 모아 떠날 때, 그 밖에 신호용으로 많이 쓰인다. 나발을 부는 사람으로서는 대포수, 상쇠, 설장구가 있는데, 이 가운데 어느 한 사람이 불면된다. 먼저 1초를 울리면 여러 곳에 흩어져 있는 치배꾼들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9.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합하여 큰 일을 치워내는 마을 공동체라는 오랜 역사적 생활 토대를 유지 강화하는 원천이 되어왔으며 그 토대의 원칙은 바로 우리가 미신이라고 박대했던 \"굿\"이었던 것이다. 오늘에 있어서 \"굿\"이야 말로 다시 재조명하여 올바르게 우리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