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의 연결이 우리나라 국제운송물류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05
박원호 / 경의선 복원과 TSR의 미래, 건설교통 Journal, 제18권 제2호(통권199호), 2001
서광석 / 대륙철도와의 연계를 위한21세기 한국철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륙철도망은 남북한 분단에 의한 공간적 장애, 단절구간의 존재, 항만시설의 낙후 및 허브항만으로의 접근성 저하 장애 등으로 활용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아 왔다. 그러나 경의선 연결을 계기로 TSR과 TKR(한반도종단철도)가 향후 연결되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4.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단철도연결을 대체하는 방안으로 시행되고 이러한 움직임은 사실상 우리 한반도에 또, 동북아에 대륙횡단철도가 얼마나 필요한지, 점점 급속히 늘어나는 물동량을 어떻게 해결해야할 지 다시 한번 TKR-TSR의 연결 중요성을 일깨우고 있다.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4.12.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도망의 통합이 필수적이다.
(2) 최적의 연결 노선 결정
TKR은 4개의 지점에서 대륙철도망과 연결이 가능한데 이는 한국이 유라시아로 진출하는데 있어 새로운 물류 통로가 될 것 이다.
TKR과 대륙철도망의 연계가능성은 두망강과 러시아 핫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8.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철도물류 루트의 개발
한반도를 21세기 동북아의 물류중심국가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한반도종단철도(TKR)과 대륙횡단철도(TSR, TCR)을 연결하여 “鐵의 실크로드 시대”를 구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철도의 운송과 관련해서는 각 국가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09.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