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29건

대황 商陸 상륙 (合小豆、綠豆 煮飯食。) 상륙은 소두, 녹두를 합하여 달여 밥으로 먹는다. 甘遂 감수 (瀉 腎臟風濕下注,脚氣腫痛生瘡,同木鱉子,入猪腎食,取利。) 감수는 신장의 풍습하주를 사하고 각기, 종통으로 종창이 생김을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그러므로 수종은 비허에 기인하니 만약 잘못 사용하면 일시에 비록 발산하나 얼마 안 되어 재발하니 결단코 구제할 수 없다. 곡정초 해금사 지초 반변련 지정 견종소 대황 상륙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자등은 달인 즙을 볶아 복용하니 수음병을 내린다. 大豆黃卷 콩나물 (除胃中熱,消水病脹滿。同大黃醋炒,爲末服。) 대두황권은 위 속의 열을 제거하니 수병 창만을 소멸케 한다. 대황과 함께 식초로 볶아서 가루내어 복용한다. 蕎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산후에 자장을 거두지 못함에 피마자를 찧어서 단전에 붙이면 중지한다. 此藥外用屢奏奇勳,但不宜內服耳。 이 피마자 약은 외용으로 자주 기묘한 공훈을 주효하니 단지 내복에는 의당하지 않을 뿐이다. 택칠 감수 속수자 낭탕 피마자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대황기념사업회 『한국의 성곽』, 반영환, 1992, 대원사 한국의 성곽 편집부 엮음 『동아 대백과 사전』 편집부 엮음 『우리 건축을 찾아서 1권 2권』 도서출판 발언 1994년 송석상 이강승 편저 『그림으로 배우는 우리의 문화유산』 학연 출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