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광제 29년(1849년) 4월의 사정이다.
道光帝以英人就範, 從此可以無患, 所以有“小屈大伸”的諭旨。
도광제이영인취범 종차가이무환 소이유소굴대신적유지
就范 [jiufan]①지배에 복종하다 ②일정한 범주나 궤도를 따르다 ③통제에 순종하다
|
- 페이지 75페이지
- 가격 11,000원
- 등록일 2016.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광제비회주절운
임칙서는 빨리 청나라 조정에 상주하니 도광제는 상주에 회신으로 비답을 내렸다.
旣有此番擧動, 若再示柔弱, 則大不可。
기이차번거동 약재시유약 즉대불가
이미 이번 거동이 있어 만약 다시 유약함을 보이면 크게 불가
|
- 페이지 76페이지
- 가격 11,000원
- 등록일 2016.03.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광제 5년 여름에 변경보고로 장격이가 크게 쳐들어온다고 했다.
領隊大臣巴圖, 自恃勇力, 率兵二百人, 出塞掩捕.
령대대신파언도 자시용력 솔병이백인 출새엄포
掩捕 [ynb] ① 잡다 ② 체포하다
부대 다스리는 대신인 파언도 자신이 용력을
|
- 페이지 80페이지
- 가격 11,000원
- 등록일 2016.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광제(道光帝, 재위 1820~1850년) 시절에는 외국 쌀이 중국 시장을 교란하는 현상까지 나타났다고 한다. 그리고 건륭제(乾隆帝)의 총신(寵臣)인 화신의 농단으로 인해 이미 가경제(嘉慶帝, 재위 1796~1820년) 시기부터 청나라의 재정이 고갈되기 시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8.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칙서의 친구이며 동지였던 위원(魏源)의 저서 『해국도지(海國圖志)』가 일찍이 일본에 수입되었다. 「이(夷)의 장기(뛰어난 군사기술)를 배워 이(夷)를 제압한다」는 주장은 동시대 일본의 예민한 무사(武士)층과 호농(豪農) 호상(豪商)층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06.11.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