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 외교 통로는 국무부의 하비브가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에 대하여
사건의 발단
사건 그림설명
피해장교사진
한·미연합군의 대응
당시 신문
관련 동영상
도발과 대응의 역사
우리의 안보의식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7.0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 간의 기본적 인식과 절차, 방법 등의 차이
6. 남북 연방제
7. 남·북한 올림픽 단일팀 출전협상 (63.1.24)
8. 1970년대의 통일을 위한 우리의 노력
9.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10.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89. 9)
11.북한의 연방제 통일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비 침투사건에서 북한은 3차례에 걸쳐 울진삼척지구에 무장공비 120명을 15명씩 조를 편성, 침투시켜 군복 신사복 등산복 등으로 위장하여 게릴라전을 펴게 하였다. 이 외에도 전세계를 경악시킨 판문점 도끼만행사건은 판문점 공동경비 구역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과 미국 양자회담 개최를 주장하면서 대화의 상대를 남한이 아닌 미국으로 바꾸려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북한의 입장은 어디까지나 공산화혁명을 위한 전략전술의 일환에서 나온 것이며, 판문점 도끼만행사건(1976.8)은 그러한 속셈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대남전략은 한반도 적화통일이라는 궁극적 목표에는 기본적으로 변함이 없습니다.
31-35
분단이후 꾸준히 정권유지와 체제 존속을 위해 끊임없는 대남 도발을 멈추지않고 있으며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아웅산묘소폭발사건, 강릉침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