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병마사영송도감의 관원을 표시하였다.
3도감은 바로 이들 3관이 있는 세 관부 즉 식목도감도병마사영송도감을 표시하였다. 이 때 식목도감과 영송도감은 엄연한 도감이지만 도병마사를 3도강에 포함시키는 데는 주저하지 않을 수 없다. 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의 중앙 정치의 핵심은 3성 6부였지만, 고려는 이를 고려의 실정에 맞게 개편하여 2성 6부로 운영하였다. 중서성과 문하성을 합쳐 중서문하성으로 하여 상서성과 함께 2성으로 운영하였다.
최근 고려도 3성이었다는 설이 나오고 있다. “고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6.24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천민으로 만들었다.
*소
국가에서 필요한 금, 은, 종이, 도기, 칠기 등을 만드는 즉 수공업에 종사하는 특수 천민 집단 거류지이다. 1.고려의 중앙관제
-중서문하성
-중추원
-어사대
-삼사
-도병마사
2.고려의 지방관제
-5도
-12목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3.12.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병마사(都兵馬使)의 후신이며 도당(都堂)이라고도 한다. 도병마사는 989년(성종 8) 동서북면병마사(東西北面兵馬使)를 설치하고 중앙에서 이들을 지휘하기 위한 판사(判事)를 둔 데서 유래하며, 현종 초를 전후한 시기에 설치되었다.
문종 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병마사와 함께 금내 3관에 포함되었다. 회의도감이란 정식 관부가 아니라 앞의 도평의사사와 식목도감의 회의기관의 회의원을 표시한 것이다.《高麗史》찬자는 상의회의도감사의 이름에서 회의도감을 하나의 관부로 잘못 이해했던 것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