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중앙관제와 지방관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의 중앙관제와 지방관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고려의 중앙관제
-중서문하성
-중추원
-어사대
-삼사
-도병마사

2.고려의 지방관제
-5도
-12목

본문내용

수용, 집권강화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우선 중요 지역에 목을 설치, 목사를 파견한 것인데, 최승로는 지방의 호족이 공무를 빙자, 백성을 괴롭히고 있는 현실을 지적하며 '애민'의 차원에서 가능한 수준의 인력을 지방에 시급히 파견할 것을 건의한 바 있다.
이전까지는 금유, 조장 그리고 전운사 등이 필요한 경우에만 임시로 지방에 파견돼 공무를 수행해왔다. 이번 목사 파견조치에 따라 금유와 조장은 폐지된다. 한편 12목 설치와 목사 파견에 대해 지방의 호족들은 크게 긴장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국초에 사심관제를 시행, 지방통치에 대해 어느 정도 호족들의 권리를 인정해왔으나, 이제 그 권리를 중앙에서 통제한다는 점에서 호족들은 기득권 상실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백성들은 민생안정의 측면에서 이번 조치에 큰 기대를 나타내고 있다.
*향·부곡
농업을 주로 하던 천민 집단의 거류지이다. 고려에서는 국가에 대한 반역죄를 진 죄인이 나오면, 그 벌로서 죄인이 나온 군이나 현을 부곡으로 강등시켜 그 곳 주민 전체를 천민으로 만들었다.
*소
국가에서 필요한 금, 은, 종이, 도기, 칠기 등을 만드는 즉 수공업에 종사하는 특수 천민 집단 거류지이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12.29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