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고려 사회의 성립과 발전
제2장 고려 후기의 사회변화
제3장 조선사회의 성립과 발전
제2장 고려 후기의 사회변화
제3장 조선사회의 성립과 발전
본문내용
- 보부상성행, 억말정책을 실시하여 규제함
2) 과전법과 전세제도
① 과전법(토지분급제도)시행 - 고려 지배층의 경제적 기반을 빼앗고 조선 지배층의 기반 확보, 자영농 시작
② 공법 - 수취제도의 정리된 모습을 잘 보여줌 (품평에 맞추어 조세 부과 했음)
ㄱ. 전분 6등법 :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6등전으로 구분
* 1등전은 1결의 면적이 약 3000 ∼ 4000평이었으며, 6등전은 1만 3000평 정도
* 토지세는 1결 수확량의 1/20인 20말로 정함
ㄴ. 연분 9등급 : 농사의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세율을 조정
* 1결당 최고 20말에서 최저 4말까지 차등
③ 전국의 수취는 조운수로를 통해 서울로 올라와 왕조 제정에 바쳐짐
3)역역과 공물제도 농민부담 가중
① 역역 : 노동력을 무상으로 제정하는 것
② 공물제도 : 각지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을 국가에서 거두었던 것
3. 신분제도
1) 지방사회의 구조
* 고려말 많은 인구이동으로 전국적인 촌락이 재편됨
* 촌락의 지배계급도 바뀜 면리제로 편제, 단일지방통치체제 확립
* 노비의 비율이 늘어남
2) 신분구성 지배층인 양반, 중인, 피지배층인 평민, 천인으로 나뉘어짐
① 조세를 부과하기 위해 호적 시행(조선초)
ㄱ. 전국 인구 파악을 목적으로 3년마다 작성
ㄴ. 국가는 호적을 통해 신분을 파악하고 신역을 부과
ㄷ. 기재사항은 주소, 본인의 직역, 성명, 나이, 4조(조상)의 이름, 식솔의 정확한 파악
② 양반 - 지주, 노비 소유, 과거나 음서를 통해 관직 진출
③ 중인 - 기술관리, 아전, 향리, 주로 행정실무를 맡았음.
④ 평민 - 수공업자, 농민(제일 많음), 상인, 사회적 지위가 어느 정도 보장
⑤ 노비 - 매매, 상속의 대상. 호적에 노비이름 기재, 사회적으로 천대받는 직업 종사
4. 문화와 기술의 발전
1) 성리학의 보급
① 신진사대부층의 정치이념이자 세계관
② 대표학자 : 정도전, 권근, 길재
ㄱ. 정도전- 국가체제 마련, 조선경국전 등 저술
ㄴ. 권근 - 입학도설, 오경천견록 등 저술
ㄷ. 길재 - 성리학적 명문과 의리를 대표, 사림파 형성에 기여
③ 국가차원에서 집현전 설치, 윤리규범 보급이 행해 졌다.
* 주자가례 ; 예법을 담은 내용을 보급해서 유교사회를 구현하려 했음
2) 한글 창제 : 백성들의 우리말 표기와 지배층의 통치이념과 규범을 보급하려는 필요에서 1441년 훈민정음이 창제
3) 과학기술의 발전
① 천문기상학의 발달 : 농업과 관련되어 국가에서 상당한 관심
ㄱ. 태조때 - 천문도 제작
ㄴ. 세종때 - 간의대 설치, 임시 관측대 설치(일식과 월식 관측)
* 이천, 장영실 - 천문관측의 대·소간의, 천체의 운행을 측정하는 혼천의, 앙부일구의 해시계, 자격루의 물시계, 측우기 등을 개발
* 정흠지, 정초 - 칠정산 달력 편찬 종래의 역법과 외국의 역법 참조
② 의학의 발전 : 노중례의 향약집성방, 김순의 의방유취 등을 편찬하여 질병 예방, 치료 에 힘을 기울임
4) 예술 : 지배층인 사대부의 정신세계를 반영
* 안견의 몽유도원도, 분청사기, 백자 등
2) 과전법과 전세제도
① 과전법(토지분급제도)시행 - 고려 지배층의 경제적 기반을 빼앗고 조선 지배층의 기반 확보, 자영농 시작
② 공법 - 수취제도의 정리된 모습을 잘 보여줌 (품평에 맞추어 조세 부과 했음)
ㄱ. 전분 6등법 :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6등전으로 구분
* 1등전은 1결의 면적이 약 3000 ∼ 4000평이었으며, 6등전은 1만 3000평 정도
* 토지세는 1결 수확량의 1/20인 20말로 정함
ㄴ. 연분 9등급 : 농사의 풍흉에 따라 9등급으로 세율을 조정
* 1결당 최고 20말에서 최저 4말까지 차등
③ 전국의 수취는 조운수로를 통해 서울로 올라와 왕조 제정에 바쳐짐
3)역역과 공물제도 농민부담 가중
① 역역 : 노동력을 무상으로 제정하는 것
② 공물제도 : 각지에서 생산되는 특산물을 국가에서 거두었던 것
3. 신분제도
1) 지방사회의 구조
* 고려말 많은 인구이동으로 전국적인 촌락이 재편됨
* 촌락의 지배계급도 바뀜 면리제로 편제, 단일지방통치체제 확립
* 노비의 비율이 늘어남
2) 신분구성 지배층인 양반, 중인, 피지배층인 평민, 천인으로 나뉘어짐
① 조세를 부과하기 위해 호적 시행(조선초)
ㄱ. 전국 인구 파악을 목적으로 3년마다 작성
ㄴ. 국가는 호적을 통해 신분을 파악하고 신역을 부과
ㄷ. 기재사항은 주소, 본인의 직역, 성명, 나이, 4조(조상)의 이름, 식솔의 정확한 파악
② 양반 - 지주, 노비 소유, 과거나 음서를 통해 관직 진출
③ 중인 - 기술관리, 아전, 향리, 주로 행정실무를 맡았음.
④ 평민 - 수공업자, 농민(제일 많음), 상인, 사회적 지위가 어느 정도 보장
⑤ 노비 - 매매, 상속의 대상. 호적에 노비이름 기재, 사회적으로 천대받는 직업 종사
4. 문화와 기술의 발전
1) 성리학의 보급
① 신진사대부층의 정치이념이자 세계관
② 대표학자 : 정도전, 권근, 길재
ㄱ. 정도전- 국가체제 마련, 조선경국전 등 저술
ㄴ. 권근 - 입학도설, 오경천견록 등 저술
ㄷ. 길재 - 성리학적 명문과 의리를 대표, 사림파 형성에 기여
③ 국가차원에서 집현전 설치, 윤리규범 보급이 행해 졌다.
* 주자가례 ; 예법을 담은 내용을 보급해서 유교사회를 구현하려 했음
2) 한글 창제 : 백성들의 우리말 표기와 지배층의 통치이념과 규범을 보급하려는 필요에서 1441년 훈민정음이 창제
3) 과학기술의 발전
① 천문기상학의 발달 : 농업과 관련되어 국가에서 상당한 관심
ㄱ. 태조때 - 천문도 제작
ㄴ. 세종때 - 간의대 설치, 임시 관측대 설치(일식과 월식 관측)
* 이천, 장영실 - 천문관측의 대·소간의, 천체의 운행을 측정하는 혼천의, 앙부일구의 해시계, 자격루의 물시계, 측우기 등을 개발
* 정흠지, 정초 - 칠정산 달력 편찬 종래의 역법과 외국의 역법 참조
② 의학의 발전 : 노중례의 향약집성방, 김순의 의방유취 등을 편찬하여 질병 예방, 치료 에 힘을 기울임
4) 예술 : 지배층인 사대부의 정신세계를 반영
* 안견의 몽유도원도, 분청사기, 백자 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