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립군부대의 의거(봉오동전투)
Ⅲ. 백야 김좌진장군의 의거(청산리대첩)
1. 청산리대첩
2. 청산리대첩의 결과 및 의의
Ⅳ. 도마 안중근의사의 의거(이토히로부미살해)
Ⅴ. 매헌 윤봉길의사의 의거(훙커우공원사건, 루쉰공원사건, 홍구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좌진부대의 활동 재조명, 이문사, 1996
박환, 김좌진장군의 항일독립운동 성격과 역할, 국방부, 2002
이성우, 백야 김좌진의 국내민족운동, 호서사학회, 2006
이성우, 독립군 지도자 백야(百冶) 김좌진(金佐鎭) 장군, 현대사회연구소, 2008
이성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립군단의 편성배경
3. 1920년대 만주 무장투쟁의 배경
4. 홍범도[洪範圖, 1868~1943]
5. 봉오동 전투의 서막, 삼둔자 전투
6. 봉오동전투의 전개과정
7. 봉오동 전투의 여파로 인한 독립군 연합 결성
8. 김좌진[金左鎭, 1889~1930]
9. 청산리대첩
10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좌진 장군의 선제 공격을 통한 승리, 그리고 같은 날 오전 천수평에서의 참패를 설욕하려던 일본군을 김좌진부대와 홍범도 부대의 협공을 통한 어랑촌 전투 등의 일련의 승리를 거두었던 것이다.
「한국독립군」
1930년 1월 김좌진 장군이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400원
- 등록일 2004.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독립군단의 편성배경
3. 1920년대 만주 무장투쟁의 배경
4. 홍범도[洪範圖, 1868~1943]
5. 봉오동 전투의 서막, 삼둔자 전투
6. 봉오동전투의 전개과정
7. 봉오동 전투의 여파로 인한 독립군 연합 결성
8. 김좌진[金左鎭, 1889~1930]
9. 청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7.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