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7건

여성을 상징했으며, 만월은 풍요와 다산, 생산을 상징했다. 즉 놋다리밟기에서 원을 이루는 형태는 달을 모방하여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원을 이루는 형태는 여성기를 모방한 형태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여성만이 참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김창규, 『문화재보호법개론』, 서울: 동방문화사, 2005, 《참고그림》 김준근, 『기산풍속도첩』 김홍도, 『씨름』 傳 신윤복, 『대쾌도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동국세시기, 양우당 1. 입춘(立春) 2. 우수(雨水) 3. 경칩(驚蟄) 4. 춘분(春分) 5. 청명(淸明) 6. 곡우(穀雨) 7. 입하(立夏) 8. 소만(小滿) 9. 망종(芒種) 10. 하지(夏至) 11. 소서(小暑) 12. 대서(大暑) 13. 입추(立秋) 14. 처서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동국세시기」에서는 찹쌀콩쑥꿀로 만들어 10월의 음식으로 먹었다고 되어 있으며, 「이조 궁중음식연회고」에서 찹쌀팥깨밤대추잣쑥승검초계피꿀로 만들었다. 각색단자병은 「18세기 궁중연회음식고」에서는 찹쌀밤대추잣쑥석이건강계피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1. 들어가는 말 2. 정월의 세시풍속 1)설 2)소보름과 대보름 3) 입춘 4) 그 밖의 날들 3. 2월의 세시풍속 1) 이월 초파일 2) 그 밖의 날들 4. 3월의 세시풍속 1) 삼월 삼짇날 2) 한식 5. 4월의 세시풍속 1) 사월
  • 페이지 3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1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