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살어리랏다. 靑山( Ⅰ. 서론
1. 고려가요의 개념과 연구 방향
Ⅱ. 본론
1. ‘동동’의 후대적 수용 양상
2. ‘쌍화점’의 후대적 수용 양상
3. ‘가시리’의 후대적 수용 양상
4. ‘청산별곡’의 후대적 수용 양상
Ⅲ. 결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10.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쌍화점의 회회(回回)아비, 삼장사(三藏寺)의 사주(社主), 우물 용, 술집아비이다.
③ 배역을 나누어서 노래를 불렀으리라는 것까지는 가능한 추정이나, 갈등이 제시되고 해결되는 연극적인 전개를 갖추었다고 하기는 어렵다.
④ <동동>은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2.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동(動動)>
4. <정석가(鄭石歌)>
5. <청산별곡(靑山別曲)>
6. <서경별곡(西京別曲)>
7. <쌍화점(雙花店)>
8.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
9. <상저가(相杵歌)>
10. <사모곡(思母曲)>(속칭 엇노리)
11. <유구곡(維鳩曲)>(속칭 비두로기)
12. <이상곡(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동」「가시리」「사모곡」「만전춘」「쌍화점」따위는 이러한 형편을 가늠케 하는 좋은 예이다.
4) 조선민요
조선시대 민요는 세속적인 것이 별로 없으며 특히 초기 민요는 고려의 영향을 매우 많이 받았다. 이 시대의 민요는 모두 한문학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3.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동>ㆍ<쌍화점>의 노래와 놀이 2―134
7.6.4. <상저가>에서 <정석가>까지 2―140
7.6.5. <가시리>ㆍ<서경별곡>ㆍ<청산별곡> 2―146
7.6.6. 소악부 2―155
7.6.7. 참요의 문제점 2―159
7.7. 설화ㆍ무가ㆍ연극의 양상 2―162
7.7.1. 설화 2―162
7.7.2. 무가 2―16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