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참여정부)의 동북아중심국가
1. 국토의 균형발전과 산업발전 전략 병행
o 인천지역은 물류와 IT등 첨단연구개발 집적지, 관광단지로 조성
o 부산지역은 물류와 부품소재 집적지로 조성
o 광양지역은 물류와 신소재 집적지로 조성
2. 경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부 노동정책의 평가와 전망, 민주사회정책연구원
심지홍(2008) : 한국 노동시장의 현안: 외환위기 극복 이후 참여정부의 노동정책을 중심으로, 한독경상학회 Ⅰ. 서론
Ⅱ. 노무현정부(참여정부) 노동정책의 동북아플랜(동북아시아 중심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8.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정부 스스로의 노력도 한층 빨라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국정좌표 ■ = 노 대통령은 취임사를 통해 `참여정부'의 국정목표로 국민과 함께 하는 민주주의, 더불어 사는 균형발전 사회, 평화와 번영의 동북아시대를 열어 나갈 것임을 천명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3.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북아나 아시아에도 하루 빨리 ECSC 같은 구체적인 국제적 지역 통합체가 제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의 경우는 동북아에너지공동체 같은 것이 가능할 수 있으며 FTA를 중심으로 유럽공동시장(European Common Market) 단계로 바로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의미 (북한이 뚫리지 않으면 진정한 동북아 수송네트워크는 완결될 수 없음)
- 즉, 남북한 관계를 동북아질서의 틀 속에서 풀어내고, 동북아질서의 구축을 통해 남북한관계를 진전시켜나겠다는 발상임.
- 참여정부의 ‘평화번영정책’은 대북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