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어 품사 형용사활용 조동사
1. ない
부정, 일본어 문법용어로는 打消(うちけし) 라 한다. 동사나 동사 활용형 조동사 미연형에 이어진다.
1) 미연
(동 사) ふる + ない + う = ふらなかろう 안 오겠지(비가)
(조동사) かえる + せる + ない + う =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복합동사의 결합요소의 품사에 의한 분류
2) 복합동사의 복합빈도에 의한 분류
3) 복합동사 구성성분의 의미관계에 의한 분류
4) 전항과 후항의 다양한 결합관계에 의한 분류
Ⅲ. 일본어 형용동사
1. 형용동사의 활용형
2. 형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07.04.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일본어 문법 형용사, 일본어 문법 형용동사, 일본어 문법 조사, 일본어 문법 조동사, 일본어 문법 형식명사, 일본어 문법 감동사 분석
Ⅰ. 일본어 문법 형용사
1. 형용사의 활용
1) ない
2) なる
2. 형용사의 품사전성
3. 복합형용사
4. 형용사의 중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용사는 명사형 어미로 명사로 파생되며, 접사 및 -어 하다와 결합하여 동사로 파생되기도 한다. 이처럼 한국어 형용사 유형은 우선 수식구조와 서술구조에서의 활용 및 계사 유무, 다른 품사로의 파생, 비교급류의 활용 여부의 측면에서 볼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8.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어화가 있었을 것은 당연하다. ‘들앓\'(‘달걀\' <蒙山 44>), 머구 Ⅰ. 개요
Ⅱ. 복합사의 원리
Ⅲ. 중국의 복합사
Ⅳ. 중국의 복합어
1. 형용사
2. 동사
3. 명사
4. 부사
5. 의문사
6. 수사
Ⅴ. 중국의 복합동사
참고문헌
복합사 복합어, 중국 복합동사, [복합사, 중국, 복합사 원리, 중국 복합사, 중국 복합어, 중국 복합동사, 복합어, 복합동사]복합사의 원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