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3건

변천과 장속 Ⅵ. 고구려 고분의 대표적 사례 1. 초 기(약 350 ? 약 450년) 1) 동수묘(冬壽墓)-안악 3호분 2) 덕흥리 고분벽화 2. 중 기(약 450 ?약 550년) 1) 쌍영총(雙楹塚) 2) 무용총(舞踊塚) 3. 후기(약 550년 ? 668) Ⅶ. 나가며 참고문헌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8.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동수묘 주인공도, 쌍영총 나관 쓴 주인부부, 무용총 북벽, 덕흥리 묘주의 모습에서 나관의 형태를 엿볼 수 있다. 여자 발양 및 두식 관모 고구려 고분벽화를 보면 남자는 대부분 관모를 착용해 머리모양을 알기 어려우나, 여자는 관모를 착용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동수묘(冬壽墓)-안악 3호분 (2) 덕흥리 고분벽화 4. 중기(약 450 ~ 약 550년)의 고분벽화 (1) 쌍영총(雙楹塚) (2) 무용총(舞踊塚) 5. 후기(약 550 ~ 668년)의 고분벽화 6. 그 외의 고분벽화 (1) 모두루총(牟頭婁塚) (2) 각저총(角抵塚) (3) 통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8.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묘주도 및 13태수 하례도 덕흥리 고분은 안악 3호분(동수묘) 다음으로 연대가 확실한 고분이다. 평양 서북방 대안시 덕흥리에 있다. 묵서명에 의해 오늘의 북경 지방인 신도현 출신으로 유주자사를 지냈고 불교신도이며 고구려에 와서 국소대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1.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동수묘(冬壽墓)와 덕흥리(德興里)무덤에서 볼 수 있는 부부초상 ·사냥 ·무용 ·행렬(行列)을 비롯한 생전의 생활 모습 등을 담은 인물풍속도 등이다. 중기(450~550년경)는, 돌방의 축조가 고구려식으로 정착되면서 앞방이 작아져 딸린 방처럼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