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능에는 섭식행동, 성행동, 체온조절, 감정행동, 하수체저엽 호르몬의 분비조절, 하수체후엽 호르몬의 분비조절, 생시시계 기능 등이 있다. 1. 뇌파
2. 의식수준
3. 신피질 연합영역의 통합기능
1) 인지
2) 의지 및 감정
4. 변연계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기적 검사방법중 뇌파는 혈종이 있는 부위에 theta나 delta파와 같은 느리고 약한 파가 보통 나타나는데 이들이 어느 한쪽에만 국한되어 나타날 때 그쪽에 혈종이 있을 것이라는 암시가 될 수 있으나 정상 뇌파를 보이는 경우라 할지라도 혈종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면시 나타남, 깨어있는 성인에게는 나타나지 않아야 정상, 3초(매우 느림)
theta-측두골, 두정골 부위에서 발생, 4-7초(느림)
alpha-후두부 부위에서 발생, 8-13초(빠름), 각성상태
beta-전두부, 중심부 부위에서 발생, 15-30초(매우 빠름) 가장 많이 각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6.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뇌파를 관찰할 때 그 주파수와 진폭에 따라 분류하기도 한다. α파는 사람 뇌파의 대표적인 성분이며, 보통 10 Hz 전후의 규칙적인 파동이며 연속적으로 나타난다. 진폭은 평균 50 μV 정도로, 두정부(頭頂部)와 후두부에서 가장 크게 기록되며,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전신성 발작
1) 결신 발작
2) 근간대성 발작
3) 간대성 발작
4) 긴장성 발작
5) 긴장성-간대성 발작
6) 무긴장성 발작
3. 국소화 관련 간질 및 간질 증후군
1) 측두엽 간질
2) 중신측두엽성 극파를 동반한 양성 간질
3) 후두엽성 돌벌파를 동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0.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