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view of Sociology, 41, 311-330.
Pickett, K. E., & Wilkinson, R. G. (2015). Income inequality and health: A causal review. Social Science & Medicine, 128, 316-326.
안진상(An Jinsang),and 김희정(Kim Heejung). \"아동 · 청소년의 건강불평등 결정요인 분석.\" 한국청소년연구 24.2 (2013): 205-2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4.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강증진사업이라 하면 위험요인에 대한 노출 감소를 위한 정책이 많으며 건강불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면을 보인다. 일반적인 건강증진사업은 교육수준이 높고 자원이 많은 높은 계층에서 더 많은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2.08.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 2019.
- 조희금. 건강가정론. 서울: 신정, 2013.
- 이원숙. 건강가정론. 서울: 학지사, 2014.
- 김익균. 건강가정론. 경기도: 정민사, 2012.
- 건강가정기본법, 저자 박휘용, 출판 유페이퍼, 2023.07.21.
- 제4차 건강가정기본계획(2021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평등과 교육혁신을 위한 과제.” 교육정책포럼, 2020년 통권 328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2020). 교육 분야 COVID-19 대응 동향 리포트: 국외 교육 분야 전반 대응현황. 한국교육개발원.
현진희(2020). “코로나19 이후 정신건강, 어떻게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21.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불평등 실태와 재분배 정책의 효과, 노동리뷰, 2013년, 62-75(14쪽)
기사
“부자 증세 등 재정 통한 소득재분배 필요”, 경향신문, 2012-01-10, http://www.khan.co.kr/
“최근 3년간, 간접세비중 무려 4.8%증가, 교통세 21.9% 급증”, 한국납세자연맹, 2012-04-09, h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1.01.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