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삼가루와 함께 술로 복용한다.
人參
인삼
(虛食少,必同白朮用。孕、産後、,未分陰陽,一兩,煎冷服。)
인삼은 허학으로 음식을 적게 먹음에 백출과 함께 사용한다. 임신학질과 산후학질, 장학에 음양이 구분되지 않을때 인삼 40g을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출, 맥문동(여름철에는 많이 사용하고), 사삼 3.2g, 현삼 2g, 황백 1.2g, 감초 0.8g, 생강 3조각을 물에 달여 복용한다.
或以山藥으로 代蔘 朮이라.
혹은 산약으로써 인삼, 백출을 대신한다.
久服이면 去川芎하고 冬月이면 加破故紙이니라.
오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4.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며 신미는 금의 미이고, 한기는 금의 성질이며 신감미이면서 한기이면 백호의 몸을 얻음이다.
甘草、梗米甘平而溫,甘取其緩,溫取其和,緩而且和,得伏虎之用焉.
감초와 갱미는 감미와 평기이면서 온기이며, 감미는 완화함을 취하고 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소양경의 울화로 된 이명과 이롱을 제거한다.
連翹
연교
(耳鳴 煇 煇(빛날, 굽다, 지지다 휘; -총13획; hu)
煇焞 焞(귀갑 지지는 불, 어스레하다, 성하다 돈; -총12획; tun,tui,zun)
焞,除少陽三焦火。)
연교는 이명으로 화끈거림을 치료하니 소양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 자생음혈 위신.
감초 생지황의 감미 한기로써 화를 끄고 기를 보하고 음혈을 자생케 하니 신약이 된다.
以當歸補其血不足 砂納浮溜之火 而安神明也.
이당귀보기혈부족 주사납부류지화 이안신명야.
溜(방울져 떨어질, 여울, 급류 류{유}; 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