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외상변혹론 입방본지 처방을 세운 본 뜻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외상변혹론 입방본지 처방을 세운 본 뜻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 자생음혈 위신.
감초 생지황의 감미 한기로써 화를 끄고 기를 보하고 음혈을 자생케 하니 신약이 된다.
以當歸補其血不足 砂納浮溜之火 而安神明也.
이당귀보기혈부족 주사납부류지화 이안신명야.
溜(방울져 떨어질, 여울, 급류 류{유}; 水-총13획; liu,liu)
당귀로 그 혈의 부족을 보하고, 주사로 뜨고 방울지는 화기를 들어가게 하니 신명을 편안케 함이다.
右[上]件 除砂外 四味 共爲細末 湯浸蒸餠 爲丸 如黍米大 以砂 爲衣
상건 제주사외 사미 공위세말 탕침증병 위환 여서미대 이주사위의.
위 약건을 주사를 제외하고 4약미를 모두 가늘게 가루내어 탕침하여 떡을 쪄서 환약을 기장쌀크기만하게 만들어 주사로써 옷을 입힌다.
每服十五丸 或二十丸 津唾嚥下 食後 或 溫水凉水少許 送下 亦得
매복십오환 혹이십환 진타연하 식후 혹 온수량수소허 송하 역득.
매번 15환이나 혹은 20환을 침으로 뱉어 연하하니 식후나 혹은 따뜻한 물이나 찬물 조금으로 연하하면 또한 좋다.
此近而奇[偶] 制之緩
차근이기우 제지완.
(짝, 동료, 배우자 우; -총15획; ou)
<素問. 至眞要大論>; “是故 平氣之道 近而奇偶 制小其服也”
이 주사안신환은 거의 기방 우방이면서 제법은 완방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6.03.07
  • 저작시기2006.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3875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