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변맥
변한열
변한열
본문내용
당내허이상지자 조열야.
안이 허약하여 손상된 것은 조열이다.
或因口吸風寒之氣 鬱其陰火
혹인구흡풍한지기 울기음화.
혹은 입으로 풍한의 기운을 흡입하여 그 음화를 울체하게 함이다.
使咽膈不通 其吸入之氣 欲入爲膈上衝之火 所拒
사인격불통 기흡입지기 욕입위격상충맥지화 소거.
인후 흉격을 소통되지 않게 하여 흡입한 기가 들어가 흉격위의 충맥의 화에 막히게 된다.
使陰氣不得入 其胸中之氣 爲外風寒所 而不得伸
사음기부득입 기흉중지기 위외풍한소알 이부득신.
음기를 들어가지 않게 하고, 가슴 속의 기가 외부의 풍한사에 막혀서 펴지 못하게 된다.
令人口開目 極則聲發於外 氣不能上下 塞於咽中 而氣欲絶
령인구개목증 극즉성발어외 기불능상하 색어인중 이기욕절.
사람 이을 벌리고 눈을 치켜 뜨고, 극도에 이르면 외부로 목소리를 내고, 기는 위 아래로 가지 못하고 목구멍 속이 막혀 기는 끊어지려고 한다.
又或因 因嘔 因吐 而躁熱發 必有所因
우혹인얼 인구 인토 이조열발 필유소인.
또한 혹은 딸꾹질이나 구토로 원인하여 조열이 발생하는데 반드시 원인되는 바가 있다.
方有此證 其表虛惡風寒之證 復見矣
방유차증 기표허오풍한지증 부현의.
바로 이 증상은 표허증으로 풍한을 싫어하는 증상이 다시 나타나게 된다.
表虛之弱 爲陰火所乘 躁發須臾而過 其表虛無陽 不任風寒 復見矣
표허지약 위음화소승 조발수유이과 기표허무양 불임풍한 부현의.
표허한 허약은 음화가 그 틈을 타서, 번조가 발생하고 잠시에 지나서 표허증에 양기가 없으면 풍한사를 맡을 수 없고 다시 나타나게 된다.
是表虛無陽 常常有之 其躁熱則間而有之
시표허무양 상상유지 기조열즉간이유지.
이는 표허증으로 양기가 없음이니, 항상 그렇게 되니 그 조열은 간간히 있게 된다.
此二者不齊 躁作寒已 寒作躁已
차이자부제 조작한이 한작조이.
이 2가지는 고르지 않고 조열이 일어나면 오한이 그치고, 오한이 생기면 조열이 그친다.
非如外傷之寒熱齊作 無有間斷也
비여외상지한열제작 무유간단야.
외부로 손상한 오한발열이 함께 일어날 뿐만 아니라 도중에 멈춤도 없다.
百病俱有身熱 又謂之肌熱 又謂之皮膚間熱以手之方知者 是也
백병구유신열 우위지기열 우위지피부간열이수문지방지자 시야.
모든 병에 몸에 발열이 있으니, 또한 그것을 기열이라고 하거나 또는 그것을 피부사이의 열이라고 하니, 손으로 문지르면 바로 알 수 있는 것이 이것이다.
乃肌體有形之熱也
내기체유형지열야.
신열은 기부와 몸의 형체가 있는 열이다.
亦須皆待陰陽旣和 汗出則愈矣
역수개대음양기화 한출즉유의.
신열은 또한 반드시 모두 음양이 이미 조화함을 기다려 땀이 나면 곧 낫는다.
愼不可於此上 辯之 以其虛實 內外病 皆有之 故難辯耳
신불가어차상 변지 이기허실 내외병 개유지 고난변이.
삼가 이를 변별해야 하니, 그 허실과 내외의 병이 모두 있으므로 변별하기 어려울 뿐이다.
只依此說 病人自覺發熱惡寒之熱 及躁作之熱上 辯之爲准則矣
지의차설 병인자각발열오한지열 급조작지열상 변지위준칙의.
다만 이 학설에 의거하면 환자가 자각한는 발열과 오한의 열이나 또 조열로 만든 열을 변별하는 준칙이 될 것이다.
안이 허약하여 손상된 것은 조열이다.
或因口吸風寒之氣 鬱其陰火
혹인구흡풍한지기 울기음화.
혹은 입으로 풍한의 기운을 흡입하여 그 음화를 울체하게 함이다.
使咽膈不通 其吸入之氣 欲入爲膈上衝之火 所拒
사인격불통 기흡입지기 욕입위격상충맥지화 소거.
인후 흉격을 소통되지 않게 하여 흡입한 기가 들어가 흉격위의 충맥의 화에 막히게 된다.
使陰氣不得入 其胸中之氣 爲外風寒所 而不得伸
사음기부득입 기흉중지기 위외풍한소알 이부득신.
음기를 들어가지 않게 하고, 가슴 속의 기가 외부의 풍한사에 막혀서 펴지 못하게 된다.
令人口開目 極則聲發於外 氣不能上下 塞於咽中 而氣欲絶
령인구개목증 극즉성발어외 기불능상하 색어인중 이기욕절.
사람 이을 벌리고 눈을 치켜 뜨고, 극도에 이르면 외부로 목소리를 내고, 기는 위 아래로 가지 못하고 목구멍 속이 막혀 기는 끊어지려고 한다.
又或因 因嘔 因吐 而躁熱發 必有所因
우혹인얼 인구 인토 이조열발 필유소인.
또한 혹은 딸꾹질이나 구토로 원인하여 조열이 발생하는데 반드시 원인되는 바가 있다.
方有此證 其表虛惡風寒之證 復見矣
방유차증 기표허오풍한지증 부현의.
바로 이 증상은 표허증으로 풍한을 싫어하는 증상이 다시 나타나게 된다.
表虛之弱 爲陰火所乘 躁發須臾而過 其表虛無陽 不任風寒 復見矣
표허지약 위음화소승 조발수유이과 기표허무양 불임풍한 부현의.
표허한 허약은 음화가 그 틈을 타서, 번조가 발생하고 잠시에 지나서 표허증에 양기가 없으면 풍한사를 맡을 수 없고 다시 나타나게 된다.
是表虛無陽 常常有之 其躁熱則間而有之
시표허무양 상상유지 기조열즉간이유지.
이는 표허증으로 양기가 없음이니, 항상 그렇게 되니 그 조열은 간간히 있게 된다.
此二者不齊 躁作寒已 寒作躁已
차이자부제 조작한이 한작조이.
이 2가지는 고르지 않고 조열이 일어나면 오한이 그치고, 오한이 생기면 조열이 그친다.
非如外傷之寒熱齊作 無有間斷也
비여외상지한열제작 무유간단야.
외부로 손상한 오한발열이 함께 일어날 뿐만 아니라 도중에 멈춤도 없다.
百病俱有身熱 又謂之肌熱 又謂之皮膚間熱以手之方知者 是也
백병구유신열 우위지기열 우위지피부간열이수문지방지자 시야.
모든 병에 몸에 발열이 있으니, 또한 그것을 기열이라고 하거나 또는 그것을 피부사이의 열이라고 하니, 손으로 문지르면 바로 알 수 있는 것이 이것이다.
乃肌體有形之熱也
내기체유형지열야.
신열은 기부와 몸의 형체가 있는 열이다.
亦須皆待陰陽旣和 汗出則愈矣
역수개대음양기화 한출즉유의.
신열은 또한 반드시 모두 음양이 이미 조화함을 기다려 땀이 나면 곧 낫는다.
愼不可於此上 辯之 以其虛實 內外病 皆有之 故難辯耳
신불가어차상 변지 이기허실 내외병 개유지 고난변이.
삼가 이를 변별해야 하니, 그 허실과 내외의 병이 모두 있으므로 변별하기 어려울 뿐이다.
只依此說 病人自覺發熱惡寒之熱 及躁作之熱上 辯之爲准則矣
지의차설 병인자각발열오한지열 급조작지열상 변지위준칙의.
다만 이 학설에 의거하면 환자가 자각한는 발열과 오한의 열이나 또 조열로 만든 열을 변별하는 준칙이 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