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출, 승마, 시호를 가미함이 마땅하다.
燥結多汗者忌用.
건조로 결체와 땀이 많으면 창출 사용을 금기한다.
(南陽文氏亂,逃往壺山,饑,因有人以餌朮,遂不饑。)
남양문씨가 난리를 당하여 호산에 도망가다 굶주려서 사람이 창출을 복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중은 단단함을 연하게 하는 공로를 보니 단지 창만 치료하며 혈만 치료할 뿐만 아니다.
病患虛寒無實熱者勿服。
병환이 허한하며 실열이 없는 환자에는 복용치 않는다. 天麻 천마
白朮 백출
蒼朮 창출
狗脊 구척
貫衆 관중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8.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상한에 만약 토하고 만약 사하한 뒤에 심장 속에 상역해 창만하고, 기가 가슴에 상충하고 일어나면 머리가 아찔하고 침긴맥이고, 발한하면 곧 경락을 동요하고 몸이 떨리면 복령계지백출감초탕으로 주치한다.
茯桂枝白朮甘草湯方
복령계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1.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출이전 감초일전 강전복이니 즉방기황기탕이라.
방기 10g, 황기 6g, 백출 8g, 감초 4g과 생강을 달여 복용하니 곧 방기황기탕이다.
但汗多者는, 用此等分이라.
단한다자는 용차등분이라.
다만 땀이 많으면 이것 같은 분량을 사용한다.
附防附朮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출과 함께 사용한다. 임신학질과 산후학질, 장학에 음양이 구분되지 않을때 인삼 40g을 달여 차게 복용한다.
白朮
백출
(同蒼朮、柴胡,爲家必用之藥。)
백출은 창출 시호와 함께 학질환자가 반드시 사용하는 약이다.
升麻
승마
(邪入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