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 , 대원사
우리생활 100년; 집 , 현암사
서윤영 (2005), 집우집주, 궁리 출판 Ⅰ. 마을이라는 코드
1. 인간과 공간의 관계
2. 전통적 마을의 구조
3. 현대인의 마을 개념
Ⅱ. 안채, 안방이라는 코드
1.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을을 다녀와서
양동마을은 이번 발표를 위해서 방문한 것을 포함해서 총 4번을 다녀왔다. 처음 방문했을때는 2006년이었는데, 그때는 지금과는 다르게 어딘지 모르게 너무 산만한 마을처럼 보였다. 무엇인지 정돈되지 않은 그런 모습이었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을에 이전 복원하였다.
안채는 ┎자형 몸채에 ㅡ자형 행랑간이 붙어 ㅗ형으로 되어 있으며 부엌과 안방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향하고 있는 것은 개성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형으로 서울의 주택에서는 보기 드문 형태이다.
장대석을 사용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7.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을 내에 있는 일관헌(日觀軒) 주변에 있으며, 느티나무 한 그루와 팽나무 일곱 그루가 함께 자라고 있다. 성읍리 느티나무는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느티나무로 키 20.5m, 가슴높이 둘레 4.30m이며, 나이는 약 1,000년으로 짐작한다. 팽나무들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9.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마을의 의미와 구조적 미를 깨뜨리는 구조물이라고 생각된다. 위와 같은 빌라형태의 집들이 많이 있던데 전통적 한옥 마을인지 단순히 한옥이라는 타이틀을 빌어 관광객 유치를 위한 돈벌이로만 유치 되는지 한순간 생각해 본 사진이었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