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 정이 가는 우리내 막사발. 앞으로 더욱 더 많이 만들어지고 알려져서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막사발을 소중히 여겨야 할 것이다. 또한 나도 꼭 한점 소장하고 싶은 욕심이 생긴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막사발 천년의 비밀, 한길아트>>, 2001
이와 같은 현상은 1718세기에도 계속되었고, 정조 이후 이용후생의 북학파 견해가 도자정책에 반영되기에는 역부족이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19세기에 들어서자 도자기 기술의 낙후성은 조선 후기 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막사발 이었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차완(茶碗) 중 제왕의 자리를 차지, 도요토미히데요시가(家)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았으며, 천황조차도 이도차완 앞에서는 절을 했을 정도로 으뜸으로 쳤다. 현재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막사발에서 도자기가 갖는 새로운 미를 먼저 발견한것은 일본의 다인들이었다는 것이다.
이도다완은 분청은 회청색의 몸체에 백토를 바르거나 또는 문양을 긁어내거나 산화철로 그림을 그린 것으로 한국인의 독자적인 창안에 의한 이채로운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막사발은 보물(이도다완 井戶茶碗)이 되어 일본인들이 도자기 전쟁이라 부르는 임진왜란을 일으키는 계기가 되었으며 조선 도자기에 대한 경모감을 갖고 그들이 데려간 도공들은 일본 도자기 산업의 중심이 되었다. 그 후 조선의 분청사기는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