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자들도 항일연군의 전체 활동 범위를 설정하고 김일성의 활동상을 한 부분으로 서술하고 있다. 우리는 이런 접근방식에 의미를 두어야 할 것이다.
7. 만주파의 권력 장악과 항일항미 정신
북한으로 돌아온 항일세력은 항일연군 출신의 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7.12.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주파의 승리였다. 이제까지는 정점에 김일성밖에 없었다가 만주파 전체가 등장했다. 김일성 개인의 리더십 대신에 만주파의 집단적 리더십이 앞에 나선 것과 같다. 당중앙위원회 제4기 제15차 전원회의에서 유일사상체제 수립이 논의되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주파가 주도했으며 정치 사업은 당중앙위원회의 직접 통제를 받지 않고 민족보위성 문화부상과 문화훈련국에 위임하였다. 여기에 당 조직을 두지 않은 명분은 ‘전 인민의 군대’였기 때문이었는데 실제로는 엄격한 규율을 요구하는 인민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주파를 중심으로 거의 자기완결적으로 이루어졌다. 군 창설은 만주파가 주도해 만주파의 대부분이 군에 진출하였고 연안계를 견제하며 그 협력을 얻고 소련계의 실무적 지원을 받았다. 인민군은 당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기보다 당과 동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만주파, 연안계,소련계, 국내파 등으로 분류되는 공산주의세력들 사이의 권력 지형이 어떻게 변하는 지 등을 좀 더 쉽게 살펴볼 수 있었다.
새롭게 알게 된 사실
-해방 후 미,소 양국군이 입성하기 전 한반도의 상황이 ‘진공상태’는 아니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