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 - 김일성주의 사회주의체제와 유격대국가의 성립
본 자료는 미리보기가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연구주요저작강독 - 북조선 - 김일성주의 사회주의체제와 유격대국가의 성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62년 2월 전인민의 무장화, 전국의 요세화, 전군의 현대화, 전군의 간부화라는 4대 군사노선이 채택되었다.
1960년대 후반의 북조선에는 국가사회주의체제 위에 새로운 구조가 2차적으로 만들어졌다. 필자는 1985년부터 ‘유격대국가’로 부르는 사고를 제창하였다. 이 구조가 성립한 계기는 1967년 5월의 당중앙위원회 제4기 제15차 전원회의에서 ‘유일사상체제’가 제안된 것이다. 1961년에 일어난 일은 만주파의 승리였다. 이제까지는 정점에 김일성밖에 없었다가 만주파 전체가 등장했다. 김일성 개인의 리더십 대신에 만주파의 집단적 리더십이 앞에 나선 것과 같다. 당중앙위원회 제4기 제15차 전원회의에서 유일사상체제 수립이 논의되었고 ‘부르주아 및 수정주의분자’가 폭로되었다는 것이다. 박금철, 김도만, 리효순, 허석선, 고혁, 박용국 등이 비판을 받았다. 결국 여기에서 내려진 노선은 김일성과 만주파가 있고 당이 있으며 대중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김일성이 유일한 사령관으로서 인민 전체가 만주파, 즉 유격대원이기를 요구하는 노선이었다. 전 인민의 만주파와 유격대화를 추진했다.
주체사상은 첫째 인간은 노력하면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 둘째 민족은 자주적이어야 한다. 셋째 인간이 만능무적이 되며 민족이 자주적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뛰어난 지도자, 수령이 필요하다는 테제이다. 1968년 1월 21일 유격대를 남파하여 서울의 대통령 관저를 향애 진격시켰다. 1.23일에는 북조선 해군이 미 해군의 푸에블로호를 영해 침입이라고 하여 나포하였다. 1969년에 당 연락부장으로 대남 공장의 책입자였던 허봉학이 해임되었다. 나아가 1970년까지 전 민족보위상이자 현 부수상인ㄴ 김광협, 민족보위상 김창봉, 총참모장 최광이 해임되었다. 1973년 김정일은 당중앙위원회 비서가 되어 조직부장관 선전부장을 겸임하였다. 1974년에는 정위원회의 위원이 되었다. 이때부터 그를 당중앙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1980년 로동당 제6차 대회에서 김정일이 김일성의 후계자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6. 새롭게 알게 된 사실
이 글을 통해서 새롭게 알게 된 것은 6.25전에 이승만 정권은 북벌 통일론을 주장하면서 38선을 넘어 침입공격을 빈번하게 하였고 이에 불안을 느낀 북한 정권은 소련 대사에게 무기장비를 제공해 주도록 요청했고 동시에 김일을 중국에 보내 중국혁명에 참가했던 조선인 부대를 북조선에 파견해 주도록 요청하여 마오쩌둥은 이를 인정하고 각각 1만명 규모의 조선인 2개 사단을 언제라도 인도할 수 있다고 화답한 사실이다. 조선인 부대는 1949.6.29일에 미군의 남조선 철수가 완료된 뒤에 인도되었다.
7. 의문사항
북한의 남침으로 한반도는 통일될 수도 있었으며, 또한 유엔군과 한국군의 반격으로 통일직전에 중국군의 개입으로 통일이 저지되었다. 만일 6.25를 통하여 한국이 통일을 이루었다면 오늘날의 경제건설이 가능할 것인가 의문이 든다. 전쟁 후 남과 북은 외국의 원조로 대동강의 기적과 한강의 기적을 각각 이룰 수 있었다. 6.25로 인해 많은 인명이 손실되는 불운을 겪었지만 한국문화에도 일대 변혁이 왔다고 생각된다.
8. 느낀 점
김일성이 만주에서 항일투쟁을 벌인 공적이 결국 한 왕조를 건설하고 70년이 넘게 왕조를 유지할 수 있는 힘이 되었다는 생각을 한다. 물론 미소의 한반도 양분이라는 냉전시대의 국제정세가 만든 구도에서 가능한 것이었지만 김일성의 유일사상을 통한 우상화를 북한주민들의 가슴에 심고 정적들을 반혁명과 종파분자라는 죄목으로 숙청하면서 권력을 유지한 것은 대단한 상상력이 작동하였다는 생각이 든다.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주체사상, 유일사상 이 모든 것이 김일성주의로 통한다는 사실이다.
  • 가격1,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2.09
  • 저작시기201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838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