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말갈인 이면서 동시에 고구려인 이었던 대조영을 설명하기란 불가능해 보인다. 어쨌든 발해를 건국하고 지배했던 세력 한가운데에 고구려 인이 있었던 이상 발해사는 얼마든지 정식적인 한국사로 편입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기 위해서는 단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6.11.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갈인식이 있었다. 특히 양국이 대립적인 측면이 강할 때에는 말갈로 인식하는 경향이 더욱 짙었다고 본다.
신라인들의 발해인식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고구려의 남은 무리들의 나라라는 인식과 고구려 故土에서 건국된 나라라는 것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갈인의 이원적 주민 구성에 의한 종족간의 불화 역시 발해 멸망의 원인으로 볼 수 없다. 비록 멸망 시에 말갈의 일부가 독자적인 행동을 보여 주지만 전체 말갈 부락이 동조한 것은 아니며 발해가 멸망할 시기에는 많은 말갈인들이 이미 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갈인과 함께 영주를 빠져나와 만주 동부지역으로 이동하였다. 대조영은 추격해오는 당군을 천문령(天門嶺)싸움에서 크게 무찌른 뒤에 만주 동부지방에 남아 있던 고구려유민과 말갈인을 규합하여, 698년 길림성 돈화현(敦化縣) 부근의 동모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Ⅵ. 통일 국가의 성립
<2. 통일 신라의 발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1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