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주에도 결합 가능
ex)갓 스물, 갓 태어나다
결합범주가 명사성을 띄고 있어야 함
ex)새 모자, 새 만들다(x)
의존 형태소
자립 형태소 1. 말본의 얼거리
2. 말본범주
3. 말본의 형성배경
4. 북한의 말과 글
5. 형태소와 낱말
6. 낱말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그림씨, 어찌씨 다음에도 쓰여 이들을 다시 풀이말이 되게 한다. [제1장. 말본의 얼거리 정리문제.]
[제2장. 말본 범주 정리문제.]
[제3장. 말본의 형성 배경 정리문제.]
[제4장. 북한의 말과 글 정리문제]
[제5장. 형태소와 낱말 정리문제]
|
- 페이지 25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15.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범주는 문장종결법, 의향법, 마침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Q3. 우리말 말본 범주의 유형을 정리해 보라
언어활동의 환경에 따라
①말할이의 들을이에 대한 태도: 마침법(의향법), 들을이
높임법 ②말할이의 언어 내용에 대한 판단: 때매김법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말본』. 서울: 정음사.
허 웅 (1995).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서울: 샘문화사.
허 웅 (1999).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 서울: 샘문화사. 1. 머리말
2. 한국어 교육의 특징과 바람직한 한국어 교사
2.1 한국어 교육의 특징
2.2 바람직한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700원
- 등록일 2007.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 -앗-, -겠-, -더-’ 따위는 그렇지 못하므로 ‘안맺음씨끝’ 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씨끝 형태소들이 가지는 말본상의 뜻을 ‘굴곡의 범주’라고 한다.
2. 풀이씨의 통어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을 정리해 보라.
풀이씨는 월의 풀이말 구실을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