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닌 파생접사이므로 사동법이 수립된다.
(다) 업히다, 섞이다, 밀리다
-‘히,’‘이’,‘리’는 피동의 뜻을 지닌 파생접사이므로 피동법이 수립된다.
(라) 논밭, 돌다리, 봄비
-‘논+밭, 돌 +다리, 봄+비’는 어근+어근 이므로 합성어라고 할 수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시-, -앗-, -겠-, -더-’ 따위는 그렇지 못하므로 ‘안맺음씨끝’ 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씨끝 형태소들이 가지는 말본상의 뜻을 ‘굴곡의 범주’라고 한다.
2. 풀이씨의 통어적 특성과 형태적 특성을 정리해 보라.
풀이씨는 월의 풀이말 구실을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치근 ‘현대우리말본’ (2002), 박이정
10. 이영택 ‘학교 문법의 이해’ (2003), 형설 출판사
11. 김광해외 ‘국어지식탐구’(1999), 박이정
12. 민현식, ‘국어 문법 연구’, 1999, 역락 출판사
13. 임호빈외,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997, 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하치근의 견해에 초점을 두어 의미별 유형, 기능별 유형, 통어적 특징에 따른 구분방법을 언급하고 마지막으로 결론을 도출하고자 한다.
2. 굴곡접사와 파생접사의 차이점
①굴곡접사는 비교적 일반성이 있고 굴곡현상이 규칙적인 반면, 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봤습니다. ☞오토 예스퍼슨 ⟪문법철학⟫ 목차 개관
☞ 브룸필드 ⟪언어⟫ 목차 개관
☞ 나이다⟪형태론⟫ v 하치근⟪현대우리말본⟫ v 오토 예스퍼슨⟪문법철학⟫의 단어의 정의에 대하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