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오/우-’에 대한 논의의 두 가지 접근 태도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1). 종결형․연결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 (1인칭법, 화자표시법)
(2). 관형사형에 나타나는 `-오-`의 기능(대상 활용, 목적격 활용)
3.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에 살아 있음을 확인한 임홍빈(1980)의 논의도 현대국어를 바탕으로 하여 중세국어의 ‘-오/우-’를 찾아가는 데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2.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오/우-’의 기능
현행 학교문법에서는 “주어 대명사가 화자 자신(1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5.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 굴절은 다시 곡용과 활용으로 구별되기도 하는 데, 이 경우 체언에 여러 가지 굴절 어미가 결합하는 현상을 곡용(曲用, declension)이라 하고 용언의 어간에 여러 가지 어미가 결합하는 현상을 활용(活用, conjugation)이라고 한다. 국어의 경우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중세국어 어말어미 중 ‘정동사어미(종결어미)’에 관하여
1. 들어가며
어말어미는 기능에 따라 셋으로 분류된다. 그것은 정동사, 부동사, 동명사를 이루는 어미들이다. 정동사는 대체로 경어법, 시상법, 의도법의 선어말어미들이 나타나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명사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의문어미, 국어 종결어미와 종결법, 국어 종결어미와 청자대우, 국어 종결어미와 인터넷언어 분석
Ⅰ. 개요
Ⅱ. 국어 종결어미와 서술어미
Ⅲ. 국어 종결어미와 명사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