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끈한관과 거친관을 바꾸어가면서 유량을 조절하며 실험한다.
5. 실험 결과
온도
유량(Q)
매끈한 관
거친 관
유속(V)
관마찰계수
매끈한 관
거친 관
13℃
h1(mm)
h2(mm)
h1(mm)
h2(mm)
12(L/min)
50.7
50.1
51.8
49.2
0.9947
0.1901
0.8240
16(L/min)
50.9
49.9
53.1
47.9
1.3227
0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씬 빠른 속도를 가진다는 것을 알았다. 하지만 거친 관에서는 마찰계수가 높고 같은 유량에서 매끈한 관에 비해 훨씬 느린 속도를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거친 관을 사용 할 때에는 원하는 충분한 유속과 압력을 얻기 힘들어 효율적이지 않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 입구온도
·T5 혹은 T9는 냉각수 입구온도 ·T6혹은 T10은 응축관 출구온도
·T11은 응축관내의 온도 ·T12는 증기관의 표면온도
·T13은 보일러의 온도 ·T14는 냉각수 탱크내의 찬물 온도
거친 / 매끈한 응축 관으로 각각 실험
1) 보일러에서 과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5.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inar flow)구역 에서는 레이놀즈수(Re)만의 함수로 반비례하고, 천이 구역에서는 레이놀즈수와 상대조도의 함수로 나타난다(단, 매끈한 관은 레이놀즈수만이 변수이다). 그리고, 완전거친(난류)구역에서는 상대조도가 유일한 변수이다. 모든 구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4.03.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을 상용강철 또는 연철로 생각하여 그 때의 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다. friction factor를 구하는데 이것을 알아본 이유는 유리관처럼 매끈한 관과 비교해서 거친 관에 대해서는 압력강하 추정치가 적어지게 되어 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