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의 경우와 <표4>의 EP형태를 수반하는 11%정도의 수치가 그것이다.
전산언어학적인 측면을 고려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음’과 ‘-기’의 아주 정확한 차이점은 발견하기 어려웠다. 기존의 연구들이 주로 명사화 어미와 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0원
- 등록일 2010.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제51권 제 3호 2009.8
송창선(1990), \"명사화소 \'-(으)ㅁ,-기\'의 통사 특성\", 국어교육학회, 제22권 1990.8
심재기(1980), \"명사화의 의미기능\", 한국언어학회, 1980
김일환박종원(2003), \"국어 명사화 어미의 분포에 대한 계량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1982)나 서태룡(1987)과 같은 화자와 청자의 인식과정과 관련된 논의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이 방법에 의해 [구체성·사실성...]과 같은 속성도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Ⅲ. 국어 부사형어미
정음초기의 대부분의 문헌에서 혼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한 연구는 수식 관계의 변화가 대상이 된다. 15세기 국어에서는 관형화 어미인 ‘-ㄴ, -ㄹ’에 의한 관형화 구성이 오늘날과는 달리 명사화 기능을 수행하기도 했다는 점이 흥미롭다.
15세기 국어에서 관형절이 명사화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명사화 연구를 염두에 두고 한국어의 \'-음\', \'-기\'와 \'것\'을 같은 평면에 두고 연구하는 것은 한국어 문법 현상을 왜곡시키는 결과가 되며 이렇듯 형태론에 대한 정확하고도 철저한 분석과 기술이 채 이루어지기도 전에 통사론 중심의 이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