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태가 되므로 하향이중모음이 되고, [i]로 본다면 <반모음 + 주모음>의 형태가 되어 상향이중모음이 된다. 상향이중모음으로 'ㅢ'를 설정했을 때 국어의 이중모음에는 상향이중모음만 존재하는 것이 되어 이중모음체계가 단순화 될 수 있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순화한 형태를 표준어로 정한 경우.
예) 괴팍하다/X괴퍅하다, 미루나무/X미류나무, 케케묵다/X켸켸묵다
모음의 발음이 굳어진 것을 표준어로 정한 경우.
예) -구러/X구료, 나무라다/X나무래다,
미수/X미시, 바라다/X바래다, 상추/X상치,
주책/X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우리말》
◉ 표준말 이야기
◉ 알고 보면 둘 다 맞는 말들
◉ 뜻과 쓰임이 혼동되는 낱말들
◉ ‘다르다’와 ‘틀리다’는 다르다
◉ ‘너무’를 너무 남발하는 말살이
◉ 바르지 못한 말버릇
◉ 세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900원
- 등록일 2008.1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태소에 대해 설명하시오.
3. 훈민정음의 자음자와 모음자의 제자원리에 대해 설명하시오.
4. 다음 진술이 왜 잘못되었는지를 설명하시오.
- 목 차 -
1. 국어의 음운규칙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2. 형태소에 대해 설명하시오.
3. 훈민정음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200원
- 등록일 2020.10.21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
3.11 모음탈락과 준말
3.12 'ㄴ'첨가
3.13 경음화
3.14 반모음 첨가
3.15 단모음화
3.16 장모음화
3.17 음운이동
4. 음절구조와 관련한 음운과정
4.1 연음법칙
4.2 두음법칙
4.3 중화
4.4 자음군 단순화
4.5 동기관음 탈락
4.6 반모음 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