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서 론
2. 본 론
1) ‘ㆍ’의 소실
2) 모음조화의 붕괴
3. 결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5.09.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와 관련하여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한 모음이었으며, 문법적으로 봐도 중요한 기능 분담량을 가진 모음이었다. 이러한 /ㆍ/가 모음추이에 의한 위치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약화되고 탈락되는 과정에서 모음조화의 붕괴에 끼친 영향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체계와 음운 현상
1.5. 성조체계
2. 문법
2.1. 굴절 체계
2.2. 단어형성론
2.3. 통사적 특질 - 높임법
<근대 국어>
1. 음운의 변화
1.1. 음소 탈락과 새로운 모음체계
1.2. 모음조화 현상의 붕괴
1.3. 원순모음화 현상
1.4. 이중모음
|
- 페이지 19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8.08.2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조화의 원리-음양 사상, 태극기와 태극사상
12) 항렬(行列)과 촌수(寸數), 한국 이름 구성 원리, 혼인관습 등
13) 한국의 전통예술
3. 한국어학습과 연관된 음양오행론과 전통사상
1) 음양오행론
2) 한국문화에 나타난 음양오행 사상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600원
- 등록일 2008.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음은 상향이중모음과 하향이중모음이 있었으며, 15세기 많은 음운체계의 변화가 있었는데 그 중 '·'의 소실로 인해 설축대립이 붕괴하여 일어나는 현상 중, 원순모음화 현상과 'ㅏ'와 'ㅗ' 등의 혼기 현상에 대해 알아보고, 또 모음조화의 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8.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