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후균(Soft-rotting fungus)
고함수율 상태에서 목재가 오래동안 있게 될 때 목재 표면에 흔히 발생하는 피해 양태이다. 또한 약제에 대한 내성이 갈색·백색부후균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다. 연부후의 피해를 받은 목재의 표면을 물로 적시면 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6.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재부후균(wood-rotting fungi)이란?
2. 목재부후균의 종류
①갈색부후균
②백색부후 (White rot fungi)
③연부후 (soft rot)
3. 목재부후균의 활동기작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재의 함수율이 30~60%에서 최적조건이며, 150~200%이상에서는 목재 부후균에 의한 부후가 발생하지 않는다. 부후균의 생육 최적온도는 저온균이 24℃ 이하 중온균이 24~32℃, 고온균이 32℃ 이상이며, 일반적으로 저온에는 잘 견디나 고온에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3.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재의 단점------------------------------------3
4.2 목재 방부의 목적--------------------------------3
4.3 목재 방부의 역사--------------------------------3
4.4 목재의 열화 원인--------------------------------4
4.5 주요 목재 부후균---------------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재백색 부후균
이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자실체는 2.5~2×2~12cm, 두께 0.1~0.8cm로 반원형~선반형이며, 표면은 갈회색~자갈회색이고, 갓 둘레의 생장부는 백색이다. 자실층의 관공은 회자색이며, 관공구는 원형~각형이고 3~4개/mm이다. 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