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수 배양하는 실험을 하였다
agar 배지에서 분리된 대장균을(이쑤시개로 떼어낸다) 또 다른 배지에 가로 세로 대각선 방향으로 streaking을 하여 하룻동안 배양시켜 관찰하였다..
5. Result 1. Introduction
2. principle
3. Materials
4. Methods
5. R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2.09.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생물의 분리→배양→인공접종→재분리
ex) 소나무잎녹병, Fusarium 등
⑤생물학적 진단
⒜지표식물법
⒝즙액접종법(오이노균병, 세균성점무늬병)
⒞최아법(괴경지표법)
⒟박테리오파지법 : 벼흰잎마름병균 진단
⑥혈청학적, 면역학적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생물도 존재하므로 병환부에서 검출된 미생물은 KOCH 원칙에 따라 증명(바이러스, 흰가루병균, 녹병균과 같은 절대기생체는 만족할수 없는 것도 있다.)
- KOCH 3원칙
① 병원체는 반드시 병환부에 존재한다
② 병원체를 순수배양하여 접종하면
|
- 페이지 69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23.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생물의 순수 분리 및 배양의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고체 평판 배양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19세기에는 미생물의 다양한 역할을 밝혀낸 시기이다. 윤작시기에 따른 미생물의 변화가 일어나 토양전염성 식물 균의 생활사가 중단되거나 차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9,100원
- 등록일 2020.05.06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배양이 되지 않은 부분이 보인다. Overlay를 하고 남은 배양원액은 Streaking 해주는데 Streaking을 하는 이유는 순수 배양한 미생물이 오염되지 않고 제대로 분리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다. 처음 미생물이 혼합된 배지에서는 보이
지 않는 잡
|
- 페이지 2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